ETF 검색
ETF 검색
- 위험등급
- 높은 위험
- 상품분류
- 개인연금
- 상품분류
- 퇴직연금
HANARO 원자력iSelect
- 종목코드
- 434730
- 설명
- 글로벌 경쟁력을 지닌 한국 원자력 산업에 집중 투자
- 시장가격
-
33,760 원
- 전일증감(원)
- 하락 0.0
- 기준가격
-
33,886.051 원
- 전일증감(원)
- 하락 -0.47
- 설정단위
- 50,000 좌
- 규모
- 3,117.52 억
기준일 : 2025.07.06
투자 POINT
-
" alt="투자 POINT 시각화">
글로벌 원전 수요 확대
AI 발달로 인한 전력 수요 급증으로 유럽/미국을 비롯해 글로벌 원전 수요 확대 중
-
" alt="투자 POINT 시각화">
원자력 발전의 장점 부각
저탄소 에너지원 및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한 원자력 발전의 장점 부각
-
" alt="투자 POINT 시각화">
주요국 원전 발전 용량 증설 계획 발표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2030년 까지 10개의 대형 원자로를 착공하여, 2050년에는 미국 원전 발전 용량을 현재의 4배로 늘린다는 구상을 발표
상품정보
- 규모
- 3,117.52억
- 최초상장일
- 2022.06.28
- 최소거래단위
- 1주
- 설정단위
- 50,000좌
- 기초지수
-
iSelect 원자력 지수(Price Return)
- 운용목표
- 이 투자신탁은 iSelect 원자력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합니다.
- AP 지정참가회사
- NH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메리츠증권, 키움증권, 현대차증권, DB금융투자, LS증권
- LP 유동성공급자
- NH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메리츠증권, 키움증권, 현대차증권, DB금융투자, LS증권
- 운용회사
- NH-Amundi 자산운용
- 분배금
-
1,4,7,10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
- 총보수
-
총보수를 운용보수, 지정참가보수, 신탁보수, 일반사무관리보수, 지정참가보수로 나타낸 표 총보수(합계) 연 0.45% 운용보수 연 0.36% 지정참가보수 연 0.05% 신탁보수 연 0.02% 일반사무관리보수 연 0.02%
수익률
- 기간선택
- 기간설정
- ~
- 구분
- 녹색 선(#00B140) ETF
- 연두색 선(#78BE21) 기초지수
기준일 : 2025.07.06 / 단위 : %
종류 | 1개월 | 3개월 | 6개월 | 1년 | 3년 | 5년 | 설정이후 |
---|---|---|---|---|---|---|---|
수익률 | 19.51 | 85.48 | 91.07 | 91.93 | 231.93 | - | 223.56 |
기초지수 | 22.86 | 91.28 | 96.28 | 96.21 | 237.53 | - | 229.05 |
초과성과 | -3.35 | -5.80 | -5.21 | -4.28 | -5.49 | - | -5.49 |
기초지수 : iSelect 원자력 지수(Price Return)
기준가격
- 기간선택
- 기간설정
- ~
날짜 | 시장가격 | ETF 기준가격 | |||
---|---|---|---|---|---|
종가(원) | 전일대비(%) | 종가(원) | 전일대비(%) | 과표기준가(원) | |
2025.07.06 | 33,760.00 | 0.00 | 33,886.05 | 0.00 | 10,718.49 |
2025.07.05 | 33,760.00 | 0.00 | 33,886.52 | 0.00 | 10,718.95 |
2025.07.04 | 33,760.00 | -2.55 | 33,886.98 | -2.44 | 10,719.42 |
2025.07.03 | 34,645.00 | -2.66 | 34,735.03 | -2.16 | 10,719.88 |
2025.07.02 | 35,590.00 | -2.17 | 35,502.60 | -2.49 | 10,720.36 |
2025.07.01 | 36,380.00 | -2.96 | 36,410.81 | -2.71 | 10,720.84 |
2025.06.30 | 37,490.00 | +2.59 | 37,425.92 | +2.44 | 10,721.34 |
2025.06.29 | 36,545.00 | 0.00 | 36,536.14 | 0.00 | 10,721.81 |
2025.06.28 | 36,545.00 | 0.00 | 36,536.65 | 0.00 | 10,722.32 |
2025.06.27 | 36,545.00 | -0.49 | 36,537.15 | -0.42 | 10,722.82 |
2025.06.26 | 36,725.00 | -0.58 | 36,692.97 | -0.45 | 10,709.30 |
2025.06.25 | 36,940.00 | +2.43 | 36,859.01 | +2.33 | 10,709.81 |
2025.06.24 | 36,065.00 | +5.38 | 36,020.10 | +5.27 | 10,710.32 |
2025.06.23 | 34,225.00 | +1.69 | 34,215.54 | +1.88 | 10,710.81 |
2025.06.22 | 33,655.00 | 0.00 | 33,584.13 | 0.00 | 10,711.26 |
2025.06.21 | 33,655.00 | 0.00 | 33,584.60 | 0.00 | 10,711.73 |
2025.06.20 | 33,655.00 | -1.19 | 33,585.07 | -1.34 | 10,712.20 |
2025.06.19 | 34,060.00 | +1.85 | 34,042.80 | +1.92 | 10,712.64 |
2025.06.18 | 33,440.00 | +0.57 | 33,401.15 | +1.32 | 10,713.13 |
2025.06.17 | 33,250.00 | +0.15 | 32,964.90 | -0.56 | 10,713.54 |
2025.06.16 | 33,200.00 | +7.44 | 33,151.16 | +7.55 | 10,713.99 |
2025.06.15 | 30,900.00 | 0.00 | 30,824.44 | 0.00 | 10,714.40 |
2025.06.14 | 30,900.00 | 0.00 | 30,824.87 | 0.00 | 10,714.83 |
2025.06.13 | 30,900.00 | -0.72 | 30,825.30 | -0.75 | 10,715.26 |
2025.06.12 | 31,125.00 | +4.97 | 31,056.77 | +4.85 | 10,715.69 |
2025.06.11 | 29,650.00 | +1.65 | 29,621.49 | +1.46 | 10,716.11 |
2025.06.10 | 29,170.00 | +0.64 | 29,195.27 | +0.86 | 10,716.52 |
2025.06.09 | 28,985.00 | +2.06 | 28,946.58 | +2.09 | 10,716.91 |
2025.06.08 | 28,400.00 | 0.00 | 28,353.10 | 0.00 | 10,717.32 |
2025.06.07 | 28,400.00 | 0.00 | 28,353.50 | 0.00 | 10,717.72 |
2025.06.06 | 28,400.00 | 0.00 | 28,353.89 | 0.00 | 10,718.11 |
PDF / 자산구성내역
번호 | 종목코드 | 종목명 | 수량(주) | 평가금액(원) | 비중(%) |
---|---|---|---|---|---|
1 | KR7015760002 | 한국전력 | 8,946 | 330,107,400 | 19.48 |
2 | KR7034020008 | 두산에너빌리티 | 4,135 | 248,100,000 | 14.64 |
3 | KR7267260008 | HD현대일렉트릭 | 540 | 233,280,000 | 13.77 |
4 | KR7000720003 | 현대건설 | 2,903 | 206,983,900 | 12.22 |
5 | KR7298040007 | 효성중공업 | 192 | 170,688,000 | 10.07 |
6 | KR7010120004 | LS ELECTRIC | 604 | 158,248,000 | 9.34 |
7 | KR7052690005 | 한전기술 | 710 | 63,545,000 | 3.75 |
8 | KR7051600005 | 한전KPS | 853 | 46,915,000 | 2.77 |
9 | KR7062040001 | 산일전기 | 469 | 38,598,700 | 2.28 |
10 | KR7047040001 | 대우건설 | 7,880 | 32,268,600 | 1.9 |
11 | KR7103590006 | 일진전기 | 885 | 32,037,000 | 1.89 |
12 | KR7083650002 | 비에이치아이 | 733 | 27,084,350 | 1.6 |
13 | KR7032820003 | 우리기술 | 6,015 | 26,375,775 | 1.56 |
14 | KR7014620009 | 성광벤드 | 651 | 18,683,700 | 1.1 |
15 | KR7033100009 | 제룡전기 | 425 | 17,085,000 | 1.01 |
16 | KR7130660004 | 한전산업 | 889 | 11,690,350 | 0.69 |
17 | KR7044490001 | 태웅 | 371 | 11,222,750 | 0.66 |
18 | KR7457550002 | 우진엔텍 | 201 | 5,617,950 | 0.33 |
19 | KR7105840003 | 우진 | 527 | 5,096,090 | 0.3 |
20 | KR7094820008 | 일진파워 | 403 | 4,763,460 | 0.28 |
21 | KRD010010001 | 원화예금 | 5,911,498 | 5,911,498 | 0.35 |
연관 콘텐츠
-
HANARO 원자력iSelect 리밸런싱 관련 안내
2025년 6월 HANARO 원자력iSelect 리밸런싱 안내드립니다. - 개별 종목 편입 비율 조절 (최대 종목비중 15%) - 편입 2종목(성광벤드/태웅), 편출 2종목(지투파워/비츠로테크)
- 날짜
- 2025.06.25
-
[HANARO ETF 리포트] 탈원전에서 원전 르네상스로, 다시 주목받는 원자력 산업 투자 전략 (HANARO 원자력 ETF)
6월 시장 Insight 🔍 트럼프 대통령이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가속화하고 규제 시스템을 전면 개편하는 행정명령 4건에 서명했습니다. AI 전력 수요 폭증, 이제는 원자력 타임! ⚡ - 지속가능한 핵심 에너지원, 원자력 AI 기술의 발전으로 데이터센터 전력 사용량 급증 일론 머스크, 샘 알트먼 등 주요 인물들이 전력 인프라 문제를 공개적으로 언급 일론 머스크의 첨단 AI 데이터 센터인 콜로서스는 미국 25만 가구가 소비하는 300MW 이상의 전력량을 소비 AI 컴퓨팅 수요에 대응 가능한 대규모의 안정적인 전력원으로 원자력 주목 AI 시대의 전력 수요를 감당할 에너지 해법으로 원자력 부각 트럼프, 40년 탈원전 기조 종료 선언 🗽 - 인공지능으로 인한 전력 수요 대응 5월 23일, 트럼프 대통령 원자력 산업 확대 위한 4건의 행정명령 발표 미국 원자력 산업 규제 완화 및 2050년까지 원전 용량 4배 확대 계획 AI 기반 산업 확대에 따른 에너지 전략의 대전환 시사 탄소 배출 저감 목표와 전력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정책 변화 세계적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원전 기술 보유 기업에 새로운 성장 기회 부각 [트럼프 행정명령 주요 내용] 원자력 발전 촉진 국가 안보를 위한 첨단 원자로 기술 배치 에너지부 장관은 원자력 수요에 맞춰 우라늄 농축 확대 계획 수립 2030년까지 원자로 용량을 5GW로 증대하고 신규 대형원자로 10기 건립 국가 안보 및 AI 인프라 확보를 위해 원자력 기술 활용 원자력 산업에서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 확보 국방부 산화 군사기지내 원자로 가동, 에너지부 산하 원자로의 핵심방어시설 지정 등 원자력 규제 위원회 개혁 에너지부 원자력 시험 간소화 원자력 규제 위원회의 임무에 원자로 안전 보장과 원자력 발전 촉진 포함 신규 원자로 건설 및 운영 허가는 18개월, 수명 연장 허가는 1년 이내로 기한 단축 첨단 원자로의 검토, 승인을 간소화하여 신청 후 2년 이내에 시험용 원자로 가동이 가능하도록 조치 2026년 7월까지 최소 3개의 원자로 건설을 위한 별도 예산 배정 유럽, 탈원전에서 원전 확대 정책으로 선회 👀 - 전세계적으로 원자력에 대한 인식 변화 진행 중 프랑스, 신규 원전 건설 통해 원전 강국 입지 재확립 영국, 전체 전력의 25%를 원자력으로 충당하는 로드맵 수립 벨기에, 기존 폐쇄 예정 원전 2기의 가동 10년 연장 발표 스웨덴, 탈원전 정책 철회 후 신규 건설과 수명 연장 추진 [친원전으로 선회하고 있는 유럽 각국의 정책] 프랑스 2050년까지 EPR2 14기와 SMR 15기 건설을 포함, 총 23GW 규모의 원자력 용량 확보 목표 체코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량 5.9GW 달성을 포함한 국가 에너지 기후계획 개정안 승인 폴란드 2043년까지 6~9GW원자력 도입 핀란드 신규 대형원전 및 SMR 건설방안 검토 스웨덴 신규 원전 건설 허용, 2035년까지 신규 원전 2기 건설 및 2045년까지 최대 10기 대형원전 추가 영국 정부 주도 원전 건립 위해 부지 매입 이탈리아 2025년까지 원자력 기술사용을 허용하는 새로운 법령 개정 추진 *출처: KB증권, 키움증권, NH-Amundi자산운용 글로벌 경쟁력 입증한 K-원전 💪 - 한국의 원전 기술력은 원전 르네상스에 절호의 기회 국내 30기 이상 원전 건설 통해 표준화된 시공 및 관리 역량 확보 UAE 바라카 원전 프로젝트 성공 사례로 기술력과 경험 입증 시공 지연 사태 많은 미국·유럽 대비, 공정 관리·공급망 역량 차별화 두산에너빌리티, 현대건설 등 글로벌 수준의 원전 시공 기업 보유 프로젝트 완수 경험 능력이 요구되는 원전 시장에서 국내 기업 경쟁력 부각 📌 6월 추천 ETF: HANARO 원자력iSelect ETF - 새로운 투자 패러다임, 피지컬 AI 밸류체인의 핵심 종목을 선별하여 투자 📌 상품 개요 급증하는 전력 수요로 인해 재조명 받는 원자력 산업, 국내 원자력 및 전력 인프라 기업에 투자 ✅ 투자포인트 AI 발달로 인한 전력 수요 급증으로 유럽, 미국 등 글로벌 원전 수요 확대 저탄소 에너지원 및 안정적 전력 공급이 가능한 원자력 발전의 장점 부각 미국은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 용량 4배 확대 등 주요 국가의 원전 확대 정책 가시화 📈 운용 성과 6월 2일 기준, 1개월 수익률 27.26% 기록 원자력 관련 키워드 기반 AI 필터링 기술 사용하여 원자력 산업 관련 40개 종목에 엄선하여 투자 [편입종목 Top 10] 종목명 투자비중(%) 종목 설명 두산에너빌리티 22.62 발전설비·원전·SMR 중심의 에너지 인프라 전문 기업 현대건설 15.22 국내외 플랜트·인프라·주택사업을 아우르는 종합 건설사 한국전력 13.61 국내 전력 독점 공급자로 송배전과 전력계통 운영 담당 LS일렉트릭 11.96 전력기기·자동화 솔루션 기반 산업용 전력설비 전문업체 HD현대일렉트릭 9.69 중저압 전력기기, 스마트그리드 솔루션을 제공하는 중전기 기업 효성중공업 8.63 변압기·차단기 등 전력기기 및 수소충전소 관련 사업 전개 한전KPS 2.92 발전소 설비 정비 전문 기업으로 국내외 발전소 유지보수 수행 대우건설 2.62 주택, 토목, 플랜트 전 분야를 아우르는 국내 주요 건설사 신일전기 2.56 변압기·개폐기 등 수배전반 제조 및 산업현장 설비 납품 기업 한전기술 2.39 원자력·발전 플랜트 설계·감리 수행하는 한전 계열 전문 기술사 *기준일: 2025.06.01, 출처: NH-Amundi자산운용 *상기 포트폴리오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으로 인해 지금 전력 수요는 과거와는 다른 차원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AI 시대의 핵심 인프라인 ‘전력’, 그리고 그 해답이 될 수 있는 ‘원자력’에 주목할 시점입니다. HANARO 원자력 ETF를 통해 새롭게 부각되는 원자력 산업과 K-원전의 성장 가능성에 함께하는 전략, 지금 바로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 [상품 개요] 종목명 HANARO 원자력iSelect 위험등급 2등급(높은 위험) 상장일 2022년 6월 28일 총보수 (연) 합성총보수 0.53% (집합투자업자 0.36%, 지정참가회사 0.05%, 신탁업자0.02%, 일반사무관리0.02%) 2024년 기준 증권거래비용 0.0201% 발생 NH-Amundi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25-0596호(2025.06.05~2026.06.04)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 가치 변동, 환율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 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투자 설명서 및 집합투자규약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 금융상품 판매업자는 이 금융투자상품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으며, 투자자는 투자에 앞서 그러한 설명을 충분히 들으시기 바랍니다. · 과거의 운용 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ETF 거래비용,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시장, 정치 및 경제 상황 등에 따른 위험으로 자산 가치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내용이나 향후 시장 상황 변경으로 전망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본 자료에 수록된 정보는 단순 정보제공 목적이며, 투자의 판단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되어서는 안됩니다. · 한 구성종목의 교체 또는 비율변경 등으로 인하여 추적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날짜
- 2025.06.23
-
원자력 ETF 투자 고민중이라면, HANARO 원자력iSelect 핵심 포인트 (구성 종목, 운용성과 등)
AI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전력 수요가 급증하며 전 세계 각국이 안정적인 전력 인프라로 주목중인 원자력! ⚡ 예고된 글로벌 전력난과 그에 따른 원자력 산업 상승세에 올라타고 싶다면 이번 포스트를 주목하세요. 원자력 관련 키워드 기반 AI 필터링 기술을 통해 40개 종목을 엄선해 투자하여, 2025년 6월 9일 기준 6개월 수익률 77.68%를 기록한 HANARO 원자력iSelect ETF의 투자 포인트를 지금 공개합니다. 글로벌 에너지 산업 투자 전망부터 구성 종목, 운용 성과까지! 핵심만 꾹꾹 눌러담은 이번 포스트 함께 살펴볼까요? 📌포스트 주요 내용 원자력 산업에 집중 투자할 수 있는 HANARO 원자력iSelect ETF 트럼프 대통령의 원자력 발전 확대 선언 및 세계 각국 친원전 정책 선회 AI 필터링 기술 기반으로 원자력 산업 관련 40개 종목을 엄선 HANARO 원자력iSelect ETF ☢ 글로벌 경쟁력을 지닌 한국 원자력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ETF 📌상품 개요 급증하는 전력 수요로 인해 재조명 받는 원자력 산업, 국내 원자력 및 전력 인프라 기업에 투자 🎯투자 포인트 2025년 5월 27일 기준, 6개월 수익률 77.68% AI 발달로 폭증하는 전력 수요 대응을 위해 글로벌 원자력 투자 확대 한국은 원전 관련 산업 기술력 확보로 해외 수출 등 성과 기대 *6월 9일 기준 1년 수익률 69.5%, 3년 수익률 176.4% 🔍상품 배경 ① Team Korea, 체코 두코바니 원전 계약 체결 한국수력원자력의 체코 두코바니 신규 2기 공급 계약 체결 총 25조원 규모의 대형프로젝트로, 2009년 아랍에미리트 바키라 이후 16년 만의 대규모 한국 원전 해외 수출 사례 한국 원전의 첫 유럽 진출 신호탄으로 향후 폴란드, 튀르키예, 네덜란드 등 신규 원전 프로젝트 성과 기대 ② 트럼프 “국가 안보와 AI 인프라를 위한 원자력 발전 확대” 선언 5월 23일,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탈원전 기조의 대전환을 시사하는 행정명령 4건에 서명 미국의 원자력 산업의 대대적인 확대를 목표로 한 규제 완화가 핵심 2050년까지 미국 원전 용량 4배 확대 등을 목표로 한 정책 지원 마련 세계적인 원자력 기술을 보유한 국내 원자력 관련 기업에 우호적인 투자 환경 지속 전망 *출처: 연합뉴스 ③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한국 원자력 기업 제 11차 전력수급계회에 따라 기존 원전 준공 및 원전 비중 확대 기대 세계적인 원전 설비와 시공 능력을 보유한 한국 기업들에 전세계적인 러브콜이 쏟아질 것으로 기대 국내 원전 기업들의 차세대 원전 기술 개발 가속화 ④ 세계 각국 친원전 정책으로 전환 추세 인공지능 발전으로 인한 전력 수요 폭증과 에너지 안보를 위한 핵심적인 대안으로 원자력에 대한 관심 증대 원전에 부정적이었던 △독일 △덴마크 △벨기에 등 유럽 국가도 원전정책에 전향적으로 선회 📊운용 성과 5월 26일 기준, 국내 주식형 ETF 중 월간 수익률 1위 기록(+33.51%) 원자력 관련 키워드 기반 AI 필터링 기술을 통해 원자력 산업 관련 40개 종목을 엄선하여 투자 [포트폴리오] 구분 종목명 편입비중(%) 구분 1 두산에너빌리티 22.86 발전설비·원전·SMR 중심의 에너지 인프라 전문 기업 2 한국전력 14.29 국내외 플랜트·인프라·주택사업을 아우르는 종합 건설사 3 현대건설 13.45 국내 전력 독점 공급자로 송배전과 전력계통 운영 담당 4 LS ELECTRIC 12.48 전력기기·자동화 솔루션 기반 산업용 전력설비 전문업체 5 HD 현대일렉트릭 9.94 중저압 전력기기, 스마트그리드 솔루션을 제공하는 중전기 기업 6 효성중공업 8.11 변압기·차단기 등 전력기기 및 수소충전소 관련 사업 전개 7 한전KS 3.18 발전소 설비 정비 전문 기업으로 국내외 발전소 유지보수 수행 8 대우건설 2.52 주택, 토목, 플랜트 전 분야를 아우르는 국내 주요 건설사 9 산일전기 2.5 변압기·개폐기 등 수배전반 제조 및 산업현장 설비 납품 기업 10 한전기술 2.49 원자력·발전 플랜트 설계·감리 수행하는 한전 계열 전문 기술사 *출처: NH-Amundi자산운용, 2025년 5월 26일 기준 *포트폴리오는 운용 계획 또는 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에너지 패러다임이 원자력 중심으로 재편되는 흐름 속에서 원자력 관련 산업은 국가 안보와 기술 인프라의 핵심으로 부상하는 중입니다. 특히, AI의 발전으로 인한 전력 수요 급증과 글로벌 변동성 장세 속에서 ETF를 활용해 유망 원자력 기업에 분산 투자하는 것은 효과적인 투자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HANARO 원자력iSelect ETF는 원자력 관련 키워드 기반 AI 필터링 기술을 통해 40개 종목을 엄선하여 투자하는 만큼, 원전 산업 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이라면 주목해 보시기 바랍니다. [상품 개요] 종목명 HANARO 원자력iSelect 위험등급 2등급(높은 위험) 상장일 2022년 6월 28일 총보수(연) 합성총보수 0.53% (집합투자업자 0.36%, 지정참가회사 0.05%, 신탁업자0.02%, 일반사무관리0.02%) 2024년 기준 증권거래비용 0.0201% 발생 NH-Amundi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25-0614호(2025.06.10~2026.06.09)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 가치 변동, 환율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 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투자 설명서 및 집합투자규약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 금융상품 판매업자는 이 금융투자상품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으며, 투자자는 투자에 앞서 그러한 설명을 충분히 들으시기 바랍니다. · 과거의 운용 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ETF 거래 수수료,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시장, 정치 및 경제 상황 등에 따른 위험으로 자산 가치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내용이나 향후 시장 상황 변경으로 전망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본 자료에 수록된 정보는 단순 정보제공 목적이며, 투자의 판단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되어서는 안됩니다.
- 날짜
- 2025.06.12
-
국내 원전 및 전력설비 인프라 산업이 뜬다? 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주요 내용과 전기본 수혜 업종 투자 ETF
NH-Amundi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25-0216호(2025.03.07~2026.03.06) 한국 전력 산업에 새로운 바람이 분다? ⭐ 2025년 2월 2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을 확정했습니다. 시장에서는 이번 계획을 통해 국내 에너지 정책이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요. 최근 AI 산업의 급격한 발전으로 전력 수요가 폭증함에 따라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국가 경쟁력 확보의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번 전기본 확정을 기점으로 원자력, 재생에너지 등 무탄소 에너지원 확대를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신규 원전 건설과 재생에너지 확대가 본격화되면서 관련 산업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번 전기본 확정이 국내 증시에 어떤 기회를 가져올 지 HANARO ETF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핵심요약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달성 및 전력 수요 확대를 위해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확정 원전 및 무탄소 에너지 발전, 전력 인프라 확충에 따른 관련 산업 성장 기대 전력산업 성장에 따른 HANARO 원자력iSelect ETF & HANARO 전력설비투자 ETF의 성과 기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누구냐 넌? ⚡ 전기본 추진 배경과 주요내용, 기대 효과 📌 정책 추진 배경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산업 확대로 전력 수요 급증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설정: 201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40% 감축 목표 └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파리기후변화협정에 따라 참가국이 스스로 정하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LNG 의존도를 줄이고 원전 및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등 에너지 안보 강화 🎯 주요 내용 정부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달성을 위해 2038년까지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예상 무탄소전원 확대를 위해 전력망 확충과 전력시장 개편 추진 신규 대형 원전 2기,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 신규 건설 계획 대규모 해상풍력발전 단지 건설 및 재생에너지 인프라 투자 확대 📊 기대 효과 2025년 원전 비중 30% 초반에서 2038년 38%로 확대 원자력 및 재생에너지 포함 무탄소 에너지 비중 70% 상향 조정 원전 및 전력 인프라 확충에 따른 관련 산업 성장 기대 터닝포인트 맞이한 전력산업, 유망 ETF는?😎 HANARO 원자력iSelect ETF & HANARO 전력설비투자 ETF 1️⃣ HANARO 원자력iSelect ETF 📌 개요 저탄소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한국의 원자력 관련 기업에 투자 🎯 투자 포인트 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원전 재개 정책에 따른 원자력 관련 기업 수혜 예상 인공지능 산업 확대로 인한 전력 부족 문제 해결 방안으로 원자력 발전의 중요성 부각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친원전 정책으로 글로벌 원자력 시장 확장 기대 [편입 종목 Top10] *출처: NH-Amundi자산운용 *2024년 2월 28일 기준 *구성 종목 및 비중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2️⃣ HANARO 전력설비투자 ETF 📌 개요 AI 발전으로 인한 전력 수요 급증 및 전력설비 슈퍼 사이클에 투자하는 ETF 🎯 투자 포인트 전력 수급 안정화 필요성 증대에 따른 전력설비 관련 기업의 수혜 예상 변압기, 전력케이블, 캐패시터 등의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한국 전력설비 기업으로 구성 전력설비 테마는 슈퍼사이클에 진입하며 장기적 성장 기대감 상승 미국 내 선제적 설비 투자 진행함으로써 국내 전력설비 기업의 유연한 온쇼어링 대처 기대 └ 온쇼어링: 해외의 제조공장을 자국 내로 돌아오게 하는 정책 [편입 종목 Top10] *출처: NH-Amundi자산운용 *2024년 2월 28일 기준 *구성 종목 및 비중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을 확정하면서, 국내 전력산업이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습니다. 또한 미 트럼프 대통령의 친원전 정책으로 글로벌 원자력 시장의 확장이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이에 원자력 및 재생에너지, 전력인프라 관련 기업의 수혜가 기대되는데요. 이 같은 시장 변화 속에서 HANARO 원자력iSelect ETF와 HANARO 전력설비투자 ETF는 전력 슈퍼사이클에 투자하여 장기적 성장을 추구하고 싶은 투자자에게 합리적인 투자 선택지가 되어줄 수 있을 것입니다. [상품 개요] · HANARO 전력설비투자 ETF는 설정일 1년 미만 상품으로 합성총보수 및 증권거래비용 미기재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 가치 변동, 환율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 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투자 설명서 및 집합투자규약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 금융상품 판매업자는 이 금융투자상품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으며, 투자자는 투자에 앞서 그러한 설명을 충분히 들으시기 바랍니다. · 과거의 운용 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시장, 정치 및 경제 상황 등에 따른 위험으로 자산 가치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내용이나 향후 시장 상황 변경으로 전망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본 자료에 수록된 정보는 단순 정보제공 목적이며, 투자의 판단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되어서는 안됩니다.
- 날짜
- 2025.03.20
투자 전 유의사항
- 이 금융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운용 결과에 따른 이익 또는 원금 손실이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투자자는 펀드 가입을 결정하시기 전에 집합투자규약, 투자설명서 또는 간이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과거의 운용 실적이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과세 내용은 향후 세법 관련 법령의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위의 자료에 사용된 정보들은 신뢰할 만한 자료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그 정확성과 완전함이 보장되지는 않습니다.